전기차 화재, 이제 징후 감지 즉시 출동한다!
국토교통부가 전기차 화재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완성차업체와 손잡고 배터리 이상 감지 시 화재 신고 시범사업을 시작합니다.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핵심 요약
- 국토부, 소방청, 교통안전공단, 현대차·기아, BMW코리아 협력
- 전기차 배터리 이상 감지 시 화재 신고 시범사업 4월 21일 시행
- 대상 차량 4만여대, 화재 징후 감지 시 소방서 자동 신고
전기차 화재 대응 시스템 구축
국토교통부는 전기차 화재에 대한 신속한 대응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소방청, 한국교통안전공단, 현대차·기아, BMW코리아와 협력하여 '전기자동차 배터리 이상 감지 시 화재 신고 시범사업'을 4월 21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사업의 목표는 전기차 화재 의심 상황 발생 시 소방청에 즉시 신고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여 화재 대응의 골든 타임을 확보하고, 화재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있습니다.
- 화재 대응 적기 확보: 신속한 신고 체계 구축
- 피해 최소화: 선제적 화재 대응
시범사업 참여 업체 및 대상 차량
주요 완성차업체가 참여하여 총 4만여대의 차량이 대상입니다.
구분 | 차량 대수 |
---|---|
현대차 | 1만대 |
기아차 | 1만대 |
BMW·미니 | 2만대 |
시범사업에는 현대차, 기아차, BMW·미니 등 다양한 브랜드의 전기차가 참여하여 실제 화재 발생 시 대응 시스템을 점검합니다.
화재 신고 체계 작동 방식
이번에 구축되는 신고 체계는 전기차의 운행, 충전, 주차 중 모든 상황에서 고전압 배터리의 상태를 자동으로 모니터링합니다.
화재 징후가 감지되면 고객센터에 자동으로 알려지고, 고객센터는 관할 지역 소방서에 우선적으로 신고하게 됩니다. 소방서에는 연락처, 차종, 위치 등 차량 정보가 자동으로 전달되어 119 소방대원이 즉시 출동할 수 있습니다.
차량 소유자 알림 및 데이터 활용 계획
차량 소유자에게는 유선 및 문자 알림을 통해 고전압 배터리의 화재 위험 상황을 안내합니다.
시범 기간 동안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소방청과 완성차업체는 '전기차 화재 현장 대응 매뉴얼'을 업데이트할 계획입니다. 국토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실증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기차 안전성 국제기준 마련에 활용할 방침입니다.
단계 | 내용 |
---|---|
1단계 | 배터리 상태 자동 모니터링 |
2단계 | 화재 징후 감지 시 고객센터 알림 및 소방서 우선 신고 |
3단계 | 차량 소유자에게 유선 및 문자 알림 |
전기차 안전, 한 단계 더 강화
이번 시범사업은 전기차 화재 안전 관리 대책의 일환으로, 전기차 화재에 대한 안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져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국민 안전 강화: 전기차 화재 대응 시스템 구축
- 국제 표준 기여: 실증 데이터 기반 안전성 국제기준 마련
향후 기대 효과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전기차 화재에 대한 종합적인 안전 관리 체계가 구축될 것으로 보입니다.
전기차 화재 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전기차 보급 확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전기차 화재 안전을 확보하여 국민들이 안심하고 전기차를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국토교통부 관계자
See Also: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K-방산 '빅4' 1분기 영업익 3배 증가, 비결은? (2) | 2025.04.20 |
---|---|
초등생 친구에게 돌 던져, 법원 "2200만원 배상" 판결 (1) | 2025.04.20 |
캄보디아 푸난 테코 운하, 중국 1.7조원 투자 배경과 전망 (2) | 2025.04.19 |
내 카톡 '지브리 프사', 괜찮을까? AI 이미지 저작권 쟁점 파헤치기 (2) | 2025.04.19 |
이철규 의원 아들 마약 투약 혐의 구속영장 청구, 며느리는? (2)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