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브리 변환 열풍 속 개인 초상권은 안전할까? AI 학습 데이터 우려
오픈AI의 이미지 생성 모델 사용 급증, 지브리 화풍 변환 유행 속 개인정보 및 초상권 침해 가능성 논란

핵심 요약
- 오픈AI의 '챗GPT-4o 이미지 생성' 기능으로 사진의 지브리 화풍 변환이 유행하며 챗GPT 이용자 수가 급증.
- 이미지 변환 과정에서 사용자의 사진이 오픈AI의 AI 학습 데이터로 활용될 가능성이 제기됨.
-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무단 사용 신고가 없는 한 개인정보 보호 방침이 지켜질 것으로 판단.
AI 이미지 생성 모델, 지브리 스타일 변환 열풍
오픈AI의 새로운 이미지 생성 모델을 이용한 지브리 화풍 변환이 큰 인기를 끌면서, 사용자들의 초상권 문제와 AI 학습 데이터 활용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스튜디오 지브리 스타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들은 자신의 사진을 AI에 제공하게 되며, 이는 개인정보 보호 및 초상권 침해 가능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에 따르면 챗GPT 국내 일간 활성 이용자 수가 급증했으며, 이는 '챗GPT-4o 이미지 생성' 출시의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챗GPT 이용자 수가 단 1시간 만에 100만 명 증가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러한 폭발적인 증가세는 AI 이미지 생성 기술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여줍니다.
- 챗GPT 국내 일간 활성 이용자 수 급증 (56% 증가).
- 오픈AI, 이미지 변환 유행으로 막대한 양의 이미지 데이터 확보 추정.
- 사용자 동의 없이 AI 학습 데이터로 활용될 가능성 존재.
사진 변환 유행은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어, 오픈AI가 이번 '대히트'를 통해 얻은 이미지 데이터는 방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용자들이 자발적으로 자신 및 지인의 사진을 입력하는 상황이지만, 자신도 모르는 새에 이미지 변환을 위해 입력된 사진이 오픈AI의 데이터 학습에 활용될 소지가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챗GPT 국내 일간 활성 이용자 수 변화
아래 표는 챗GPT 국내 일간 활성 이용자 수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이미지 생성 기능 출시 전후를 비교하여 사용자 증가 추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분 | DAU (명) |
---|---|
지난달 1일 | 799,000 |
지난달 27일 | 1,252,000 |
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챗GPT의 일간 활성 이용자 수는 이미지 생성 기능 출시 이후 급격하게 증가했습니다. 이는 이미지 변환 기능이 사용자 유입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합니다.
오픈AI는 텍스트 데이터 외에도 이미지 데이터 확보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는 AI 모델의 성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의 투명성과 사용자 동의 확보가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국내 AI 업계 관계자는 "오픈AI가 초상권 침해 문제를 고려해 사진 속 얼굴 그대로를 활용하지는 않겠지만 이미지를 픽셀 단위로 쪼개 AI 학습 데이터로 쓸 것"이라며 "'지브리 열풍'을 계기로 오픈AI는 텍스트보다 구하기 힘든 이미지 데이터를 엄청나게 축적했을 것으로 본다"고 언급했습니다.
오픈AI도 이미지 변환을 위해 입력된 사진 데이터가 AI 학습에 사용될 가능성이 챗GPT 버전에 따라 있을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초상권 보호와 AI 데이터 활용, 균형점은 어디에?
오픈AI는 챗GPT 엔터프라이즈, 챗GPT 에듀(Edu), 챗GPT 팀 등의 서비스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모델 학습에 쓰이지 않지만, 챗GPT 무료·플러스·프로 사용자 데이터는 사용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데이터 제어 설정에서 향후 모델 개선에 기여할지 여부를 손쉽게 설정할 수 있도록 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는 사용자에게 데이터 활용에 대한 선택권을 부여하려는 노력으로 해석됩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오픈AI가 이용자들의 사진을 영리적 목적이나 2차 가공 등에 무단 사용했다는 침해 신고 등이 들어오지 않는 이상 개인정보 보호 방침이 지켜질 것으로 봐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AI 기술 발전 속도를 고려할 때, 개인정보 보호 정책과 규제 역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챗GPT 서비스별 데이터 학습 활용 여부
아래 표는 챗GPT 서비스 종류에 따른 데이터 학습 활용 여부를 나타냅니다. 사용자는 자신의 서비스 유형에 따라 데이터 활용 방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 데이터 학습 활용 여부 |
---|---|
챗GPT 엔터프라이즈 | 미사용 |
챗GPT 에듀(Edu) | 미사용 |
챗GPT 팀 | 미사용 |
챗GPT 무료/플러스/프로 | 사용 (사용자 설정 가능) |
사용자는 챗GPT 설정을 통해 자신의 데이터가 AI 학습에 활용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제어 설정을 통해 개인 정보 보호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지브리 화풍 변환 열풍은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개인의 초상권 및 데이터 보호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앞으로 AI 기술은 더욱 발전할 것이며, 이에 따른 윤리적, 법적 문제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오픈AI가 초상권 침해 문제를 고려해 사진 속 얼굴 그대로를 활용하지는 않겠지만 이미지를 픽셀 단위로 쪼개 AI 학습 데이터로 쓸 것이다. '지브리 열풍'을 계기로 오픈AI는 텍스트보다 구하기 힘든 이미지 데이터를 엄청나게 축적했을 것으로 본다."
- 국내 AI 업계 관계자
AI 이미지 생성 기술의 발전은 창작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는 동시에, 개인의 권리 보호라는 중요한 과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브 아메리카, 앨런스 유니버스와 손잡고 차세대 팝 그룹 만든다! (0) | 2025.04.04 |
---|---|
장가계, '폭싹 속았수다' 무단 이용 논란! 서경덕 교수 맹비판 (0) | 2025.04.04 |
브리짓 존스의 일기4: 50대 브리짓, 여전히 사랑스러운 그녀의 새로운 챕터 (0) | 2025.04.04 |
전한길 '폭싹 속았수다' 통편집 논란! 넷플릭스 해명과 숨겨진 이야기 (1) | 2025.04.04 |
정지영 감독, 영화 '내 이름은' 제주 4·3사건 촬영 시작: 아픔을 담은 영화 (0) | 2025.04.03 |